광고
광고
광고

성남시의 광주대단지사건 정신 ‘왜곡?’ 유감

모동희 기자 | 기사입력 2021/03/23 [11:56]

성남시의 광주대단지사건 정신 ‘왜곡?’ 유감

모동희 기자 | 입력 : 2021/03/23 [11:56]

[성남일보] 광주대단지사건을 아시나요. 광주대단지사건은 다소 생소한 이름입니다. 그리고 광주 5.18민주화운동으로 알고 계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이는 아직 광주대단지사건이 역사적 평가를 받지 못했다는 반증입니다.  

 

성남시의 광주대단지사건 정신 ‘왜곡?’ 유감 영상뉴스 보기 

 

그러나 분명한 것은 광주대단지사건은 성남시 출발의 시발점입니다. 

 

광주대단지사건은 서울시의 무허가 주택 철거계획에 따라 경기도 광주군 중부면 일대로 강제 이주 당한 주민 5만여 명이 1971년 8월 10일 최소한의 생계 수단 마련을 요구하며 정부를 상대로 벌인 생존권 투쟁을 말합니다. 

이는 박정희 정권 출범 이후 최초로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생존권 투쟁을 위해 나선 역사적인 사건입니다. 

 

당시 박정희 정권은 사건 당일 바로 당시 광주군 중부면 광주대단지 입주민들이 요구한 요구 사항을 전격 수용하며 5시간만에 종결된 사건입니다. 

 

이후 정부는 광주대단지에 공단 등을 건설하며 자족 기능 지원에 나섰고 2년 후인 광주대단지는 광주군에서 분리돼 성남시로 출발해 성남 태동의 역사가 된 사건입니다. 

 

그래서 광주대단지사건이 갖는 의미는 남다른 것입니다. 

 

당시 배고프고 헐벗었던 성남의 모습을 기억하지 않으려는 움직임도 있었던 것도 사실입니다. 아픈 역사도 역사입니다. 그래서 광주대단지 사건은 역사 속에 묻혔습니다. 

 

그러나 역사의 진실은 영원히 감출 수는 없는 것입니다. 

 

이후 지역사회에서 광주대단지사건을 규명하려는 움직임이 이어졌습니다. 이에 2001년 광주대단지사건 30주년과 2011년 광주대단지사건 40주년 행사를 성남시가 공식적으로 지원하며 광주대단지사건을 공론화 했습니다. 

 

당시 고인이 된 김병량 시장과 이재명 전 시장은 이를 정치적 이벤트로 전락시켰을 뿐 성남의 정체성 확립의 계기로 삼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2018년 성남시장에 당선된 은수미 시장은 광주대단지사건을 성남탄생의 출발점으로 보고 조례를 제정하는 등 정치적 이벤트가 아니라 진정성을 갖고 50주년 행사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저도 높은 점수를 주고 싶습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이 있습니다. 

 

역사는 과거와 현재와의 대화라는 말이 있듯이 과거 역사의 의미를 제대로 반추하고 이를 계승하는 것은 아주 중요한 일입니다. 

 

이 같은 지역사회의 바램을 반영해 광주대단지사건 30주년과 40주년, 그리고 저희 성남일보에서도 광주대단지 사건의 역사적 실체 규명에 앞장섰던 것이 사실입니다. 

 

수많은 쟁점이 있지만 지역사회가 공감한 것은 다음과 같았다고 봅니다. 

 

1971년 8월 10일 비 오는 날 발생한 광주대단지사건의 명칭을 어떻게 규정할 것이냐입니다. 

 

그간의 수많은 학술토론회 등을 거쳐 윤곽을 잡은 명칭은 현재 잠정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광주대단지사건 대신 ‘광주대단지 항쟁’, ‘광주대단지 항거’ 등으로 모아졌습니다. 

 

그런데 사단이 발생했습니다. 

 

성남시는 지난해 10월 8일 오전 성남시청 산성누리에서 ‘광주대단지사건 명칭 지정을 위한 학술토론회’를 갖고 그동안 사건,항쟁 등으로 혼용해 사용해 오던 광주대단지사건 명칭을 ‘8·10 성남(광주대단지)항쟁’으로 확정한 바 있습니다. 

 

이후 성남시는 당시 확정된 명칭에 대해 시민들의 의견을 반영한다는 입장도 밝혔죠. 이후 성남시는 광주대단지사건에 대한 명칭 공모에 나선 바 있습니다. 

 

그런데 성남시가 지난 17일 보도자료를 통해 ‘8·10성남(광주대단지)민권운동’으로 명칭을 확정했다는 입장을 낸 것입니다. 이는 앞서 열린 명칭 지정을 위한 결론을 뒤집는 것입니다. 

 

‘8·10 성남(광주대단지)항쟁’이 ‘8·10성남(광주대단지)민권운동’으로 변경된 것입니다. 성남시의 명칭 제정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물론 시민들의 의견을 반영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그러나 성남의 정체성과 태동의 역사를 다루는 광주대단지사건 명칭이 역사를 왜곡하는 형태가 되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그런데 광주대단지사건의 역사적 실체는 없어지고 민권운동으로 변질된 위기에 처한 것입니다. 안타깝습니다. 

 

이번 명칭 확정에 대한 성남시 입장을 보면서 은수미 시장의 지난 1월 기자회견이 눈길을 끕니다. 

 

당시 은 시장은 “광주대단지는 오늘의 성남의 시작점”이라면서“해방 이후 첫 도시 빈민투쟁이며, 전국 최초 민권운동으로 아시아실리콘밸리로 향하는 성남의 역동적 태동이 된 사건”이라고 한 바 있죠. 

 

그렇다면 은수미 시장에게 묻고 싶습니다. 은수미 시장은 광주대단지사건이 민권운동이라고 생각하십니까? 궁금합니다.  

 

만일 광주대단지사건을 ‘8·10성남(광주대단지)민권운동’으로 확정한다면 지난 20년간 수많은 학술토론회와 지역사회의 합의를 거쳐 광주대단지사건 발생 50주년 맞아 이름을 확정하려는 지역사회의 여론에 역행하는 것입니다. 안타깝습니다. 

 

그동안 광주대단지사건의 실체적 성격 규명에 천착해 온 강진구 중앙대 교수는 성남의 광주대단지 사건이 과연 1960년대 흑인민권운동과 동일한 선상에서 논의될 수 있는가 하는 점에는 의문이 든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광주대단지 사건은 서울시의 일방적인 도시개발 정책과 그 과정에서 소외된 철거민을 비롯한 시민들의 생존권 투쟁이라고 했습니다.  

 

따라서 부당한 권력의 횡포로 생존마저 위기에 내몰린 민중들의 생존을 위한 투쟁이란 측면에서 일종의 ‘항쟁’이란 측면에 좀 더 사건의 본질에 닿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저도 전적으로 공감합니다. 

 

이제 성남시의 최종 선택만 남았습니다. 성남시가 그동안 지역사회에서 수많은 논의가 이뤄진 명칭에 대한 고민을 한번 더 진지하게 고민해 주기를 기대합니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성남일보TV 많이 본 기사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